주요뉴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원격진료·빅데이터가 대안?

  • 관리자 (kiso)
  • 2020-06-02 11:58:00
  • hit396
  • vote1
  • 222.111.188.130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2차 대유행이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원격진료 경험과 병원별 분산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대한병원협회는 6일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감염병 시대 뉴노멀:포스트 코로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주제로 '2020 KHC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감염병 시대의 병원 운영 및 의료시스템'을 주제로 전문가들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내놨다.

김우주 고려의대 교수(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는 감염병 예측과 감염병 총괄 대책·전략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백신과 집단면역이 없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플랜 준비 ▲정부 기관과 의료계는 코로나19 최대 발생을 대비한 역량 준비(의료종사자 보호 전략 포함) ▲정부는 유행 정점을 감당할 수 있는 피해 완화조치 시행을 포함한 완벽한 방역계획 수립 ▲정부는 '팬데믹은 조만간 끝나지 않을 것이며, 국민은 다음 2년간 주기적인 유행의 반복 가능성에 대해 대비해야 함'을 위험소통 메시지에 포함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에 대비한 의료전달체계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원급 의료기관(1차)은 코로나19 진료 거점의원의 역할을 해야 하고, 보건소 선별진료소는 경증환자(시군구 단체장과 의사회장 협력) 진료, 그리고 임시병원(전시장, 체육관 등)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병원·종합병원급 의료기관(2차)은 도립의료원·시립병원 등이 중등증 환자를 진료하고 감염병 전문병원의 역할을 해야 하고, 상급종합병원(3차)은 국가 지정 음압 유지 병상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대학병원이 중심이 되어 중증환자를 치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거버넌스(인사권·예산권·법령권) 구축, 국립감염병센터(진료·연구·교육·훈련·싱크탱크) 운영, 전문가 양성, 그리고 임상·역학·정책 개발,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시스템을 확립할 것을 주문했다.

병원은 감염 예방 및 관리를 경영에 항상 고려해야 하고, 장기적인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연구개발(진단, 치료제, 백신 개발 등)도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박래웅 교수(아주대의료원 의료정보연구센터장)는 감염병 시대의 환자 정보관리와 빅데이터 전략을 제시했다.

박 교수는 병원별로 공통된 데이터를 모아서 연구를 진행하는 '분산 연구망 및 공통데이터모델(CDM)'을 소개하면서 분산형 데이터망을 이용한 실시간 감염병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현재 국내 28곳 병원이 CDM 데이터망을 구축하고 있고, 오는 2022년까지 45곳 병원이 CDM 데이터망으로 변환할 예정에 있는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것.

박 교수는 "병원 내 연구자에게만 허용하는 CDM 연구 권한을 소위 '연구자유지대'에 참여하는 다른 기관 연구원에게도 동일하게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 CDM 분산 연구망을 활용해 실시간 감염병 정보망을 구축하고, 여기서 모인 빅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관련 연구를 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원격진료의 개념인 텔레메디슨(Telemedicine)도 장기적으로 감염병 시대에 고려해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지훈 교수(경희사이버대학교)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전화상담 및 처방을 통해 원격진료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데, 감염병 상황에서는 이것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 교수는 "원격진료에 대한 규제의 벽이 높고, 의료계의 반대로 원격진료가 활성화되지 못했지만, 코로나19의 경험으로 볼 때 원격진료는 환자를 더 효율적으로 진료하게 해 많은 의료기관이 이를 이용할 수 있다"며 원격진료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나군호 연세의대 교수(융복합의료기술센터소장)도 의료시스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나 교수는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과 ITS(여행력 정보제공) 활용 영역 확대, 전화처방 및 원격모니터링 등의 한시적 활성화, 비대면 진료 시대의 개막을 예고했다.

또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디지털 혁신기술과의 결합을 통한 원격진료, 모바일 스마트 서비스 등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나 교수는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연평균 20% 넘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산업 규모는 2022년에 1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싫든 좋든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순차적 규제완화(입법 활동)를 통해 개선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방식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환자·의료진의 디지털 헬스케어의 의료의 질에 대한 불확신을 해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원격진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홍준형 교수(서울대 행정대학원)는 어느 누가 일방적으로 원격진료를 추진해서는 안 된다며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홍 교수는 "코로나19를 잘 극복해 나가고 있는데 원격진료 때문에 또다시 의료계와 정부가 갈등하고 대립하면 쌓은 공이 무너지는 꼴"이라면서 "신중하고 서로 존중하면서 원격진료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장은 "정부는 원격진료를 통해 무엇이 해소될 것인지를 얘기해야 하고, 의료가치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지 환자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대면진료가 아닌 원격진료를 추진하는 것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의료사고가 났을 때 의사를 형사처벌하기 때문에 의사들이 원격진료에 대한 불안이 큰 것"이라며 "원격진료를 논의하려면 이런 부분에 대한 이유도 같이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  
게시글 공유 URL복사
댓글[0]

열기 닫기